본문 바로가기

서울대

(2)
세종시와 KBS 시청료 인상의 함수관계 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을 관습헌법이 지배하는 나라로 둔갑시켜 행정수도 이전을 가로막았던 5년 전이나, 대통령과 그의 국무총리의 ‘의연하고 당당한’ 일방통행으로 행정도시가 백지화 위기에 몰린 오늘이나, 그들이 끝내 집착하는 건 ‘중앙’이라는 단 하나의 상징이다. ‘권력의 공간’으로서 중앙은 지리적으로 곧 ‘서울’이다. 서울이 아닌 곳은 모두 ‘지방’일 뿐이다. 서울대가 한국대로 개명하지 않고도 한국 고등교육 자원을 통째로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된 것도, 서울지역에 소재하지 않은 대학은 ‘지방대’라는 메타명칭으로 묶여 불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들에게 중앙의 공간적 해체는 권력을 내려놓는 것에 견줄 만한 일이다. 세종시를 ‘관제 기업도시’로 만들려는 정부의 행태는 2차 대전 이후에도 식민지를 유지하려고 엄청난 ..
신파 넘어 판타지로 ‘진화’한 저널리즘 얼마 전 끝난 철도 파업이 애초 왜 시작됐는지 아는가? 몰라도 하등 이상할 건 없다. 언론들이 제대로 보도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철도 파업은 60년 동안 유지해오던 단체협약을 철도공사가 일방적으로 파기하면서 시작됐다.) 대신 언론들은 경제 피해에 관해 검증되지 않은 수치를 연일 대서특필했다. 그리고 대통령 말 한마디에 아무 의심 없이 ‘불법’이라는 딱지를 갖다 붙였다. 물론 “노조의 파업은 합법이며, 정작 불법을 저지른 건 대체 근로를 투입한 사측”이라는 법률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은 아예 배제했다. 한국 언론의 파업 보도는 유구한 일관성을 갖고 있다. 정책이나 경영 문제 등으로 파업하면 근로조건과 무관한 ‘불법 정치파업’이라고 단죄하고, 임금 등 근로조건을 걸고 파업하면 ‘밥그릇 싸움’이라고 비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