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주익

(3)
배 짓는 이들은 왜 가두고 또 가두는가 30만톤급 유조선의 갑판 넓이는 축구장 3개(7140㎡×3=2만1420㎡)를 붙여놓은 것과 맞먹는다. 유최안이라는, 성씨 3개를 붙여놓은 듯한 이름의 마흔한살 노동자는 거제에서 그런 배를 짓는 일을 하는데, 건조 중이던 30만톤급 유조선의 가장 깊숙한 곳에서 가로·세로·높이 1m인 철 구조물(1㎥) 안으로 178㎝의 몸을 욱여넣었다. ‘철 구조물’이라는 무덤한 표현은 ‘1㎥’만큼이나 많은 것들을 생략해 버린다. 구조물은 신체 절단 마술상자다. 유최안은 얼굴 따로, 두 팔 따로다. 두 발의 존재는 놓치기 쉽다. 앉은키가 비현실적으로 작아 보이는 것도 그 발 탓이다. 얼굴·팔은 그나마 제자리인데, 발은 있을 데가 아닌 곳에 내던져놓은 듯하다. 그 자리에 발이 있는 것보다 그에게 발이 있다는 사실이 아득히 애..
김진숙의 두 목소리 김진숙 민주노총 지도위원(김 지도) 목소리에는, 메시지와 별개로 듣는 이의 가슴에 긴 사이클의 울림과 초단파의 각성을 동시에 남기는 파장이 있다. 에이엠(AM) 주파수와 에프엠(FM) 주파수의 특성이 한데 어우러진 듯한 형질이다. 2011년 여름 ‘희망버스’ 타고 부산 한진중공업 영도조선소에 가서 처음 들은 지상 35m 타워크레인 위의 연설은, 분명 사람의 소리를 넘어서는 소리였다. 수없는 망치질과 담금질로 단련된 금속성의 쩡쩡한 울림이 또렷했으나, 그것은 또한 물질의 소리를 아득히 넘어서는 소리였다. 그해 내가 매번 희망버스에 오른 데는 그 소리의 이끎에 몸을 내맡긴 면도 없지 않았다. 그의 몸속에는 목소리와 관련된 비해부학적인 기관이 있을 거라고 지금도 상상한다. 비해부학적이라면 태생적이 아닌 생애사..
어느 날, 홀연히 봉하마을에 다녀오고 싶다 [노무현 대통령 서거 2주기 기고]인간과 정치를 분리하는 담론의 외설성 노무현 전 대통령 2주기는 이 글을 청탁받는 것과 함께 ‘생활의 발견’ 풍으로 내게 찾아왔다. 잊고 지내던 이의 부음이 들려오면 봉투에 담을 돈의 크기를 찰나 가늠하는 풍경처럼 말이다. ‘생활의 발견’에 빗대면, 연인에게 이별을 선언하다 말고 삼겹살집 주인에게 생고기인지 냉동고기인지 따져 묻는 것처럼. 아니 그 반대로, 고기의 냉동 여부를 천진하게 묻다가 별안간 정색하고 연인에게 이별을 통보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생활의 발견’은 내게 꽤나 어려운 텍스트다. 웃음은 괄약근이 풀리듯 터져 나오지만, 가슴 속에는 자잘한 이슬이 맺히게 한다. 웃음과 울음이 상극인지, 서로 다르기는커녕 분리조차 할 수 없는 것인지, 그 순간 판단이 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