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실습

(2)
불수능과 현장실습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불수능’이었다고 난리다. 수능 난이도 논란은 연례행사다. 경우의 수는 ‘물’ 아니면 ‘불’뿐이다. 사이도 없고 균형도 없다 보니 난이도에 대한 체감이라기보다 물불 안 가리고 대입에 올인하는 우리 사회의 조건반사일지 모른다는 의심마저 든다. 이런 분위기에서는 성인 언저리 또래들을 한날한시에 똑같은 시험문제를 푸는 단일 집단으로 간주하는 것도 이상하지 않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은 100%가 아니라 68.9%다.(2017년 통계청) 31.1%는 여러 이유로 대학에 가지 않는다.교육기본법과 초·중등교육법 등은 대학 전 단계인 고등학교의 유형을 10가지, 다시 세분하면 19가지로 나누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역시 일반고다. 이보다 덜 일반적인 자율고(공립형, 사립형)..
조금 다른 수능일은 오지 않았다 포항 지진 여드레 만에 다시 닥친 수능일 아침, 외가와 친가 쪽에서 잇따라 전화를 받은 둘째가 고개를 갸웃하며 말했다. “시험은 내가 보는데 왜 주변 사람들이 더 난리지?” 그녀의 굼뜬 동작이 마뜩잖았던 나는 순간 뜨끔했다. 시험장 부근에 내려주며 “즐거운 시간 보내”라고 ‘아무 말’ 한마디 뒤통수에 날리고는 곧장 차를 몰았다. 평소보다 잘 뚫리는 길을 달려 여유 있게 신문사에 도착하고서야 직장인 출근 시간이 한 시간 늦춰진 덕을 본 사실을 알아챘다.즐거울 구석이라고는 하나 없는 이 이벤트에 온 나라가 올인하는 날이면 신문도 덩달아 ‘클리셰’에 갇히고 만다. 수험생 부모의 기도하는 두 손과 수험생을 태운 경찰 오토바이 사진은 빠질 수 없는 레퍼토리다. 올해 는 ‘조금’ 달랐다. 이 전국적인 소동을 먼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