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몽타주

(2)
당권파를 재현하는 진보언론의 풍경 언론은 프리즘이다. 사회 현상은 언론을 투과하면서 분광해 지면이나 화면에서 다시 재현된다. 굴절각은 매체마다 편차가 있다. 하지만 각도가 비슷한 매체끼리는 서로 스크럼을 짜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그 결합도가 개별 매체 간 편차보다 훨씬 크다 보니 ‘조·중·동’과 ‘한·경’이라는 제3의 제호를 낳았다. ‘조·중·동’과 ‘한·경’의 대립적인 편차는 역으로 이들의 보도 행태 자체가 하나의 사회 현상으로 읽히도록 한다. 언론이 재현의 ‘주체’가 아니라 프리즘을 투과해 재현되는 ‘대상’이 되는 셈이다. 통합진보당 경선부정 사태는 언론이 재현의 대상이 되는 극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낯설다. 이번 사태의 보도 행태에서 가장 도드라지는 것은 단연 ‘크기’다. 어림짐작컨대, 진보 정당 운동 20년 역사 전체를 통틀어 보..
바보야, 문제는 ‘공정성’이야! 저널리즘에서 ‘아’와 ‘어’의 차이 사유하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은 표면적으로 모음 한 획이 좌우 대칭일 뿐이지만, 저널리즘에서는 본질적인 사유를 요구한다. ‘아’와 ‘어’는 표상되는 대상이 다른 게 아니라, 그 대상을 표상하는 질감이 다른 것이다. 저널리즘에서는 뉘앙스의 차이일 수도 있고, 맥락의 차이일 수도 있다. 굶주림에 지친 장발장이 빵을 훔쳤을 때, 이를 보도하는 기자들 사이에 절도 행위와 관련한 육하원칙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하나의 서사를 구성하는 이 여섯 가지의 요소 가운데 무엇을 눈여겨보고 강조하느냐에 따라 장발장이라는 존재의 사회적 평판은 하늘과 땅 차이가 된다. 저널리즘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은 흔히 하나의 짝으로 인식되고, 심지어 구분 없이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