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먼브러더스

(2)
‘리먼 브러더스’ 인수 하라더니 [미디어 바로보기] 에 이번 호부터 연재를 시작했습니다. 오랜만에 짧은 글쓰기를 하려니 쉽지가 않네요. 그나마 정기적으로 글쓰기 의무가 부과되니, 꼬박꼬박 쓰지 않을 재간이 없게 됐습니다. 이렇게라도 글을 쓸 수만 있다면 나쁘지는 않겠죠^^ 신문이나 방송이 세상 요지경 속을 속속들이 다 보여주는 것 같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수용자(독자/시청자)들이 진짜 알아야 할 건 언론이 쳐놓은 장막 뒤에 숨어있을 때가 많다. 연예인 추문을 들추더라도 사적 부분만 낭자할 뿐, 정작 추문을 둘러싼 정치경제학적 배후, 권력구조를 건드리지는 않는다. 언론에서 구조적 문제가 드러나는 일은 좀처럼 드물다. 지금 한국 언론의 최대 이슈는 단연 ‘미국발 금융위기’다. 그동안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가 지속적으로 보도되긴 ..
언론이 ‘금융 쓰나미’를 팔아먹는 방법 시치미 떼기와 둔갑술로 위기의식을 상품화하다 미디어스 안영춘 기자 jona01@mediaus.co.kr 뉴스는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그 환경에 적응해 생존하려는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태어났다. 예컨대 ‘비바람 부는 날은 신께서 노하셔서 불벼락을 내릴 가능성이 높으니 집밖으로 나다니지 말라’ 따위가 그 원형인 셈이다. 동서고금이 하나다. 현대의 기업화된 상업 언론이 적극적으로 위기를 다루는 것도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오늘도 신문지면과 방송뉴스에는 위기의 현실이 지옥의 묵시록처럼 재현되고 또 재현된다. 하지만 상업 언론이 다루는 것은 위기 자체가 아니다. 다만 ‘위기의식’을 ‘전시’할 따름이다. 위기의식은 물신화된 위기다. 상업 언론은 위기를 위기의식으로 상품화한다. 위기의식은 수용자에 의해 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