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주댐

(4)
표창장이 필요한 사람들 ‘조국 정국’을 대분류하면 절반은 ‘표창장 정국’이다. 논문 교신저자나 연구소 인턴 문제는 그 하위범주로 분류하면 된다. 핵심은 ‘조작’ 여부다. 대한민국 정치권과 검찰, 언론은 물론 온 국민까지 사생결단으로 이 문제에 매달려왔지만, 그 와중에 난 한갓지게 ‘표창장이란 무엇일까’를 고민했다. 고맙게도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조국 장관 낙마 표창장’으로 고민을 덜어줬다. 표창장이란 본디 부조리거나, 역설이거나, 한바탕 소극이었다. 표창장이 폭포수처럼 쏟아질 때가 더러 있다. 4대강 사업 유공자로 표창장을 받은 이는 1152명이다. 수자원공사, 국토부, 환경부, 국방부 등에서 녹봉을 먹는 이가 가장 많다. 강을 파헤치고 막으면 물이 맑아진다고 했던 학자들이 뒤를 잇는다. 영주댐 사업을 담합해 처벌받은..
토건족의 숙주, 4대강 보와 영주댐 1987년 노태우 대통령 후보가 ‘새만금 공약’을 발표했을 때, 농지개량조합(현 한국농어촌공사) 사람들은 “100년 먹거리가 생겼다”며 환호작약했다. 그들의 예지력은 얼마 전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새만금 국제공항 사업으로 거듭 증명됐다. 갯벌 메운 땅을 어디에 쓸지 30년 넘게 정하지 못한 채 돈이 계속 들어가고 있지만, 덕분에 누군가는 흐뭇한 미소를 머금는다. 4대강 사업도 “완공 없는 사업이 될 것”이라 했다.(박창근 가톨릭관동대 교수) 예상대로 2012년 준공 이후 수질은 나빠지고, 인적 없는 300여개 수변공원은 잡초밭으로 변했다. 보 안전성도 논란이 됐다. 그러나 누군가에겐 돈 나올 구멍이 끝없이 열리는 셈이다. 그 돈이 흘러드는 곳은 애초 4대강 사업을 벌였던 이들의 주머니다. 그들이 사업..
‘상실의 해석’…사랑도 싸움도 끝날 수 없다 [크라우드 펀딩] 4대강 기록관 건립 공공예술 프로젝트 ⑤ 이명박 정부의 '국가 개조 프로젝트'였던 4대강 사업, 그리고 7년. 그동안 아픈 눈으로 강과 강 주변의 변화를 지켜보았고, 그 힘들의 움직임을 지켜보았으며 그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 지율 스님과 예술가들이 '4대강 기록관'을 지으려 합니다. 기록관은 모래강 내성천의 개발을 막기 위해 내성천의 친구들이 한평사기로 마련한 내성천 하류, 낙동강과 인접한 회룡포 강변 대지 위에 세워지게 됩니다. 이 연재는 기록관 짓기에 함께할 여러분을 초대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펀딩 바로가기) 남편 이름으로 온 편지에는 “5일에 집으로 돌아가노라”고 적혀 있었다. 그날 남편은 오지 않았다. 역 앞에서 웬 낯선 남자가 주변을 오래 서성이기는 했으나, 남편은 아니었다...
내성천의 스님과 먹황새 오랜만에 내성천에 다녀왔다. 늦가을 장마에 비가 오락가락했지만, 화창한 봄날이었다 해도 을씨년스럽기는 매한가지였을 것이다. 지금 내성천은 폐허다. 강도 그렇고, 강마을도 그렇다. 지난봄과도 또 달랐다. 일행이 찾아간 동호마을(경북 영주시 평은면)에서는 중장비들이 동원돼 마을로 들어가는 다리를 부수고 있었다. 중장비 소음이 벌겋게 깎인 산자락에 튕겨 텅 빈 마을과 들녘으로 쩌렁쩌렁 울려 퍼졌다. 수몰 예정 지역인 그곳에는 지율 스님과 주민 두 사람이 아직 버티고 있다.내성천은 경북 봉화에서 발원해 영주와 예천 땅을 셀 수 없이 굽이돌아 낙동강 본류로 들어가는 100여㎞의 사행천이다. 나는 여러 해 그 물길을 시시때때로 답사했다. 이태 전만 해도 상류부터 최하류까지 바위 하나 찾아보기 힘든 고운 모래 천지였..